-
투자 회수 프로세스 - 기술이전기업 투자 방식이노베이터/기술이전 2019. 10. 25. 17:42
기술이전기업이 투자하는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교수가 기술을 개발 했을 경우 이 기술을 가지고 창업을 할 수도 있지만 기술이전만 하고 끝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교수는 기술을 발명하고 이에따라 발명된 기술을 무조건 산학 협력단에 발명신고를 해야합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 링크에 나와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됩니다.
https://siran.tistory.com/143?category=866243
발명된 기술을 이용해서 산학협력단은 현 기술을 기술이전하고자 하는 기업을 찾습니다.
기술이전 기업의 경우 기술이전을 받고 기술이전료를 산학협력단에 주게 되며
기술이전에 대한 수익을 교수와 산학이 5:5로 나눠가지게 됩니다.
이 기술이전을 받은 기업은 기술지주 또는 투자조합에 의해서 투자를 받거나 value up을 받게되며
해당상황의 보상으로 주식(지분)을 기술지주 또는 투자조합에서 받게 됩니다.
그리고 점차 기업이 커져나가면서 주식(지분)의 가격이 오르게 되면 투자조합 출자자 또는 지주회사 주주는 지분을 처분하게 되고 보상을 얻게 되는 구조입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해 보시면 이해가 빠를것 입니다.
그렇다면 투자 자금의 경우 어디서 나오는 것일까?
왜 하필 투자자들은 기업들에게 투자하는것일까?에 대한 궁금증이 잇을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다음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을 기대해주세요.
'이노베이터 > 기술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O 기업공개와 M&A 인수합병에 대해서 (0) 2019.10.30 실험실 창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방법 (0) 2019.10.25 코넬대학교 기술이전 실무 - 기술이전센터의 예산과 수익 (0) 2019.10.16 코넬대학교 기술이전 실무 - 발명의 평가 및 승계 (0) 2019.10.16 코넬대학교 기술이전 실무 - 발명신고 절차 및 업무 처리 절차 (0) 2019.10.15